27 |
<부록2> 교 회 예 식 문 - 성찬 예식문 (I), 성찬 예식문 (II), 혼인 예식문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4 | 4537 |
26 |
<부록2> 교 회 예 식 문 - 유아세례 예식문, 성인(成人) 세례 예식문, 공적(公的) 신앙고백서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4 | 1638 |
25 |
<부록 1>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 - 세례의 집례, 주님의 만찬, 성찬식 집례, 혼인식 집례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4 | 2267 |
24 |
EPILOGUE(에필로그)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4 | 1446 |
23 |
제9장, 성례와 계시와의 관계 - III. 유형의 ‘말씀’으로서 ‘성례’, IV. 하나님 나라의 유형적 삶으로서 ‘성례’,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4 | 1496 |
22 |
제9장, 성례와 계시와의 관계 - I. 하나님을 계시하는 완성된 방편으로서 ‘말씀’, II. 역사적인 개혁 교회에 위탁된 ‘말씀’에 대한 해석 권위,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4 | 1010 |
21 |
제8장, 성례와 언약과의 관계 - I. 성례에 참여한다는 의미, II. 예수께서 세우신 성찬과 언약, II. 성찬 / 그리스도와 한 몸이 됨, III. 성찬 / 언약의 완성으로서 새 언약,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4 | 1619 |
20 |
제7장, 성례의 궁극적 목적 - III. 성례와 언약, IV. 언약 안에서 누리는 복(신 6:24), V. 하나님의 ‘의’를 이루어야(신 6:25)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4 | 1124 |
19 |
제7장, 성례의 궁극적 목적 - I. 하나님께서 세우신 제도의 의미, II. 성례의 목적,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4 | 1655 |
18 |
제6장, 성 례 의 효 과 - II. 성례와 그리스도의 대속에 대하여, III. 교회의 동질성과 성례, IV. 성례의 효과,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3 | 1274 |
17 |
제6장, 성 례 의 효 과 - I. 성례의 역할에 대하여,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3 | 1358 |
16 |
제5장, 성 례 의 의 의 - III. 할례의 효력, IV. 성례의 의의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3 | 1338 |
15 |
제5장, 성 례 의 의 의 - I. 할례를 세우신 하나님의 본의, II. 언약 성취의 예표,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3 | 938 |
14 |
제4장, 성 례 의 조 건 - III. 십계명과 하나님의 보장, IV. 성례의 조건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1 | 1765 |
13 |
제4장, 성 례 의 조 건 - I. 성례의 역사적 배경, II. 십계명의 정신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1 | 1066 |
12 |
제3장, 언약의 연속선상에 있는 ‘성례’ - I. 성례의 의미, II. 언약의 성취,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2.01 | 1085 |
11 |
제2장, 구원의 증표로 주어진 ‘성례’ - III. 애굽에서 이스라엘과 독립 국가로서 이스라엘, IV. 성막에 대하여, V. 성례의 정신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1.30 | 1104 |
10 |
제2장, 구원의 증표로 주어진 ‘성례’ - I. 혼인 제도와 교회와의 관계, II. 성례와 교회와의 관계. 송영찬 목사.
| 서성필 | 2014.01.30 | 1226 |
9 |
제1장, 새로운 체험으로서 ‘출애굽 사건’ - <출애굽 사건의 개요>, II. 홍해 사건의 역사적 의미, III. 전투적인 교회로서 ‘이스라엘’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1.30 | 1801 |
8 |
제1장, 새로운 체험으로서 ‘출애굽 사건’ - <출애굽 사건의 개요>, I 유월절 사건. 송영찬 목사
| 서성필 | 2014.01.30 | 1482 |